카테고리 없음

튀르키예 터키 가지안테프 성의 전과 후 지진 사망자 인구 위치 공항

아돌프라 2023. 2. 14. 14:16

튀르키예 강진 사망 3만7천명... 183시간만 구조 등 '기적' 계속
- 2023. 2. 14

튀르키예(터키)·시리아 양국의 대지진 사망자 수가 3만7000명을 넘어섰습니다. 지금도 기적적인 생환 소식이 이어지고 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희망은 점차 잦아드는 분위기입니다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13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사망자가 3만1643명으로 추가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튀르키예와 국경을 맞댄 시리아 서북부의 반군 점령 지역에서는 최소 4300명이 숨지고 7600명이 다쳤다고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밝혔다. 시리아 정부가 보고한 사망자 수를 합치면 시리아에서 사망자 수치는 5714명이 넘는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이 집계한 두 국가의 사망자 수는 3만7000명 이상으로 2003년 이란 대지진(사망자 3만1000명)의 피해 규모를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이번 튀르키예·시리아 강진은 21세기 들어 역대 6번째로 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자연재해로 기록됐다. 5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낸 재난은 2005년 파키스탄 대지진(7만3000명)이다.

규모 7.8과 7.5의 강진이 일어난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생존자 구조 소식은 이어졌습니다.

튀르키예 남부 카흐라만마라슈에서 10세 소녀가 건물 잔해에 갇힌 지 183시간 만에 구조됐다고 현지 하베르투르크방송이 보도했다. 또한 이날 남부 하타이주 마을에서 13세 소년이 182시간 만에 구조됐습니다.


튀르키예·오만 구조팀은 이날 오전 안타키야에서 매몰된 지 176시간이 지난 여성을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 가지안테프주의 마을 이슬라히예에서는 이날 40대 여성이 매몰 170시간 만에 살아서 돌아왔다.

한국 긴급구호대는 이날까지 총 8명의 생존자를 구조했으며 시신 18구를 수습했습니다.

에두아르도 레이노소 앙굴로 멕시코국립자치대 공학연구소 교수는 AP 통신에 현시점에서 생존자가 존재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지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 내에서의 생존 가능성을 연구한 레이노소 교수는 "잔해에 갇힌 사람은 5일이 지나면 생존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고 있는상황이다, 예외는 있지만 9일 후에는 0%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추운 날씨 또한 생존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전날 밤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역의 기온은 영하 6도까지 떨어졌답니다.

AFP 통신은 카흐라만마라슈의 7개 지역에서 구조 작업이 종료되는 등 이제 매몰자 구출보다는 살아남은 생존자들에 대한 후속 지원 쪽으로 초점이 옮겨가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지진 생존자들은 영하의 추위와 배고픔, 추가 여진 우려, 식수 부족, 열악한 위생 상태 탓에 '2차 재난'에 노출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 튀르키예 남부 아디야만에서는 성인들에게 전염성이 무척 강한 피부병인 '옴'이 발병하고, 어린이들은 설사에 시달리고 있다고 현지 언론매체들이 보도했습니다.


약탈 행위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튀르키예 8개 주에서 하루에만 최소 48명이 약탈 등의 혐의로 체포됐고, 하타이주에서는 구호단체 직원을 사칭해 트럭 6대분의 식량을 가로채려 한 사건도 발생했습니다.

튀르키예 정부의 늑장·부실 대응에 대중의 분노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튀르키예 경찰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거짓 정보를 토대로 정부를 비난한 이용자 56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답니다.

강진 덮친 가지안테프, 튀르키예 인구 6위 도시 ‘동서양 잇는 요충지’···2세기 유적 일부 붕괴
- 2023. 2. 6

6일(현지시간) 규모 7.8 지진이 발생한 튀르키예 가지안테프는 역사적으로 동서양을 잇는 요충지이자 문명의 교차점 역할을 해왔다. 현재는 튀르키예에서 6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로, 제조업이 발달해 대규모 산업단지를 갖춘 수출 거점 지역으로 통한답니다.

터키 정부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가지안테프는 약 6000년의 역사를 가진 유서 깊은 도시다. 수메르 문명 시기인 기원전 4000년쯤 인류가 정착한 흔적이 발견됐다. 히타이트 시대에 ‘한타프’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현재도 ‘아인탑’ 도는 ‘안탑’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답니다.

가지안테프주는 동쪽으로는 유프라테스 강의 지류를 사이에 두고 샨르우르파주, 서쪽으로는 지중해에 인접한 하타이주, 북쪽은 카흐라만마라쉬주와 인접해 있다. 남쪽은 시리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지리적 특성 때문에 고대부터 동서양을 잇는 교역로이자 문명의 교차점 역할을 해왔다.

가지안테프는 히타이트, 아시리아, 페르시아, 로마, 비잔틴, 아바스, 셀주크튀르크 등 여러 제국·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이때문에 다양한 시대의 유서 깊은 문화재가 도시 안팎에 산적해 있다. 이번 지진으로 2~3세기경 지어진 가지안테프 성 일부가 무너지는 등 문화재 피해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오스만제국 시대 들어 무역로 한 가운데 있는 가지안테프는 상업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오스만제국 말기에는 유럽계 주민도 상당수였다. 2021년 기준 가지안테프 인구는 213만명에 달한다. 튀르키예에서 여섯 번째로 큰 규모다. 최근 몇 년 사이 쿠르드족 인구가 40~45만명까지 늘어 전체 가지안테프 인구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시리아와 맞닿아 있어 시리아계 아랍인들도 다수 거주중이다.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 이후 난민이 몰려들면서 접경지인 가지안테프 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답니다.

가지안테프는 제조업이 발달해 있다.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돼 수출 거점으로도 꼽힌다. 수공예가 발달해 카펫, 가죽신 등의 특산품으로 유명하다. 올리브, 피스타치오 등 농산물의 주요 산지다. 가지안테프 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이 지역의 기업은 튀르키예 전체 산업의 4%, 소규모 업체는 6%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