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수원 전세사기 모녀 부부 빌라 오피스텔 지역 어디 위치

아돌프라 2023. 10. 16. 11:44

수원 전세사기 63% 권선구 집중, 화성·용인서도 신고 잇따라
- 2023. 10. 13.

수원시에서 발생한 대규모 전세사기 의혹 사건에서 피해가 가장 집중된 곳은 수원시 권선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성과 용인에서도 피해 신고가 연달아 접수되며 피해 규모는 점점 늘어나고 있답니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0일까지 경기도 전세피해지원센터로 접수된 임대사업자 정모씨 일가와 그들이 보유한 법인 물건으로 인한 전세피해 신고는 297건이다. 이중 63.2%에 달하는 188건이 수원시 권선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권선구 다음으로는 수원시 팔달구가 78건, 영통구 14건, 장안구 8건이었으며, 화성시 8건과 용인시에서도 1건이 접수됐습니다.

정씨 일가가 보유한 물건 다수가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에 집중돼 있으며, 팔달구 인계동에서도 다수의 물건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수원지역을 중심으로 전세사기 의혹 신고가 증가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후 옛 경기도청사에서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특별법 접수 및 현황과 신청 안내, 경기도의 지원정책, 고소 절차 안내, 경매 절차 진행 안내 및 법률 상담을 제공했답니다.

현장에는 이번 전세사기 의혹에 휩쓸린 피해자 3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이들 대다수는 2·30대 청년들이었다.

이경선 경기도전세피해지원센터장은 “현재 피해자 대부분이 임차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상황이라 특별법 3항을 적용받지 못하고 있다”며 “향후 요건을 충족할 경우 이전에 신청한 사람도 재신청이나 이의신청을 해야 하기 때문에 관련 절차 등을 안내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답니다.

설명회에 참석한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오늘 설명회 이후에도 피해 신고를 접수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해 보다 효과적인 대책을 만들어 가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경기도전세피해지원센터에 접수된 이번 수원 전세사기 의혹 관련 신고는 지난 12일 기준 388건이다. 13일 기준 경기남부경찰청에 접수된 정씨 일가와 관련된 고소장은 모두 115건, 피해액은 160억여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경기도와 경찰에 접수된 내용과 별도로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수원대책위원회(대책위)가 자체 집계한 피해 세대는 394세대로 이들 세대의 피해금액 합계는 475억8000만 원 규모다.

대책위는 현재까지 알려진 피해 세대수가 671세대임을 감안하면 피해 규모는 800억 원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정씨 일가 외 또 다른 임대사업자인 이모씨로 인한 전세피해 사례도 38건, 피해금액은 60여억 원으로 파악되고 있답니다.

경찰, 671세대 810억 피해 '수원 전세사기' 가담 중개사도 수사
- 2023. 10. 16

경기 수원지역을 중심으로 빌라와 오피스텔 등 수백채의 '전세사기'를 벌인 정모씨 부부에 대해 수사 중인 경찰이 계약을 맺게 한 중개사도 수사할 방침이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출입기자단 정례간담회 질의답변 자료를 16일 배포하고 '수원 전세사기' 관련 수사 상황을 설명했다. 경찰은 "계약 과정을 면밀히 파악, 부동산 중개인 등의 가담이 있었는지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답니다.

사기 혐의로 피고소인 신분인 정씨 부부와 그의 아들 앞으로 접수된 고소장은 134건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 9월5일부터 전날(15일)까지 파악된 집계다.

134명의 피해액은 약 190억원이며 수원지역의 경우, 160억여원이고 나머지는 화성지역으로 알려졌답니다.

신고인들이 제출한 고소장 등에 따르면 피해자들은 이 부부와 빌라 및 오피스텔을 각각 1억원 안팎으로 전세계약을 맺었지만 연락이 두절되면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 고소인 중 일부는 아직 임대차계약서 상, 만료가 되지 않았지만 이들과 연락이 접촉되지 않는다는 소식에 경찰서를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신고인 대다수는 수원지역에 거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이 부부가 경기지역 등에 또 다른 다수의 빌라와 오피스텔을 보유한 임대업자라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수원대책위원회'로 구성된 피해 임차인들은 "피해 주택의 총 세대수는 671세대며 이를 감안할 때 전체 피해액은 81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원회 차원에서 파악한 피해세대는 394세대며 액수는 475억원으로 확인했는데 피해자들의 주장이라면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씨 부부와 아들 명의로 등록된 법인과 개인소유 건물은 확인된 것만 79세대로 확인됐다. 이중 77세대가 수원지역, 나머지 2세대는 화성지역으로 각각 파악됐습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해당 건물 가운데 3개는 경매예정, 2개는 압류됐다.

이같은 피해 상황이 여러 발생하자 경찰은 출국금지 조처했던 정씨 부부와 더불어 아들에게도 같은 조치를 내렸답니다.

피해자들은 이들 가족이외, 임대차 계약을 맺게한 공인중개사, 보조직원 등 5명에 대해서도 고소장을 경찰에 제출했다.

이 사건 수사는 애초 수원남부경찰서가 맡았다 지난 4일 경기남부청으로 이관됐습니다.

경찰은 해당 사건이 불거지기 이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제된 '수원 3000억원 빌라왕' 관련 게시글과 관련해 "정씨 부부 사건을 언급한 것으로 보이나 수원남부서에 누적된 3500건 고소 사건은 없었다"고 설명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