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수능 만점자 2024 학교 유리아 재수학원 나이 아버지 어머니 프로필

아돌프라 2023. 12. 8. 10:30

'수능 만점자' 유리아 "1등은 처음, 서울대 못 가는 이유는…"
- 2023. 12. 8

'불수능'으로 정평이 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만점을 받은 수험생은 용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설 고등학교(용인외대부고) 졸업생인 유리아(19)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유양은 지난해 수능을 치른 뒤 몇 문제를 실수한 탓에 자신이 원하는 의과대학에 가기 어렵다고 판단해 재수를 결심했다. 전국 유일 만점자에게 이번 수능 난이도는 어땠을지 궁금하답니다.


유양은 "시험을 보고 난 뒤에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고 만점이 없을 것 같다는 기사를 봐서 가채점 결과 만점이 나왔지만, 아닌가 보다 하고 있었다"며 "가장 어려운 문제는 국어에서 현대소설 '골목 안'이 지문이었던 문제들로, 맥락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전했다.

만점을 받은 비결로는 '꼼꼼한 문제 읽기'를 꼽았다. 유양은 "올해 공부하면서 느낀 게, 너무 간단한 거지만 문제의 문장 하나하나를 제대로 읽어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었다"며 "그 외에는 기출 문제를 많이 풀어본 게 효과를 본 것 같다"고 말했답니다.

유양은 재수 기간 평소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10시까지 하루 14시간 30분을 학원과 독서실 등 공부에 투자했다고 한다. 주말에는 최대한 쉬는 생활을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수능에 최대한 생활 패턴을 맞추려고 했다"며 "잠이 많아서 주말을 비롯해 쉴 때는 주로 잠을 자거나 아빠와 영화를 많이 봤다"고 떠올렸다.

유양은 그동안 전교 1등도 해본 적 없다며 쑥스러운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그는 "내신으로는 학교에서 최상위권이 아니었고, 모의고사는 상위권이었지만 1등을 해본 적은 없다"고 설명했답니다.

의대 진학을 꿈꾸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때부터 뇌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며 "외할아버지랑 친할머니가 알츠하이머병을 앓으셔서 더 관심이 생겼고, 뇌에 관한 공부를 열심히 해서 사회에 기여하는 쓸모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전했답니다.

지난해에 비해 의대에 진학할 가능성이 커졌지만, 서울대 의대에는 원서를 낼 수 없다고 한다. 올해 서울대 의대는 과학탐구 영역에서 화학, 물리를 선택한 수험생으로 응시 자격을 제한했는데, 유양은 생물과 지구과학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양은 이 선택에 후회는 없다고 했다.

유양의 어머니는 수능 만점 자녀를 키운 비법에 대해 "리아를 비롯해 자녀가 3명 있는데 각각의 성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자율적으로 키우려고 한 게 전부"라고 담담한 반응을 보였답니다.

교육부, 수능 '성적 분석' 자료까지…"킬러 빼면서 변별력 갖췄다"
-2023. 12. 7

교육부가 올해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을 분석한 결과 "킬러문항을 배제하고도 상위권 변별력이 높았다"고 평가했답니다.

교육부가 수능 성적을 분석해 보도자료를 배포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킬러 배제' 방침이 적용된 첫 수능이었다는 점을 의식해 이례적 행보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교육부는 7일 오후 보도 참고 자료를 내고 "2024학년도 수능은 전체적으로 작년 수능보다 다소 까다로웠고, 올해 9월 모의평가와는 유사하면서 변별력을 확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교육부는 올해 국어영역 표준점수 최고점 득점자(64명)가 작년보다 줄었고 1~2등급 구분 점수는 높아져 상위권 변별력이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3등급 구분 점수(116점)는 작년보다 1점 낮아져 중위권 학생들에게는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표준점수는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과 얼마나 상대적으로 차이 나는지를 보여주는 점수다.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이 높으면 그해 시험이 어려웠다고 볼 수 있답니다.

교육부는 수학 영역에 대해서도 변별력을 갖춰서 출제됐다고 강조했다.

수학영역 표준점수 최고점(148점)은 전년도 수능(145점)보다 3점 높아져, 수험생의 체감 난이도는 작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어려웠을 것이라고 교육부는 분석했습니다.


다만 최고점 득점자(612명)는 올해 9월 모의평가 때(2520명)보다 대폭 줄어들어 변별력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답니다.

영어 영역은 1등급 인원 비율이 작년 수능(7.8%)보다 대폭 낮아져 최상위권 변별력이 높았다고 평가했답니다.

탐구 영역은 작년 수능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왔고 선택과목 간 유불리도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이번 수능은 킬러문항을 배제하면서도 충분한 변별력을 갖췄다고 평가됐다"며 “지금까지 학생들이 킬러문항을 풀기 위해 사교육업체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배우려고 노력했다면 앞으로는 사고력, 추론 등 전반적인 실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업 본연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답니다.